안녕하세요.
두부 반모, 참치 1캔, 채소 몇 가지, 무얼 만들기에 조금 애매하게 재료들이 남아 있어서요.
참치두부전을 한번 만들어 보았는데, 고소하고, 담백하니 맛있어서 올려 보아요.
색감도 알록달록 예쁘고, 청양고추 넣어서 만드니 느끼하지 않아서 너무 괜찮네요.
채소 다지기 있으시면 훨씬 빨리 만들 수 있을 것 같고요.
참치 없으시면 두부와 채소만 넣어서 두부 채소전으로 응용하셔도 좋을 것 같아요.
재료 두부 반모(150g), 참치캔 1개(100g), 대파 1대, 파프리카(빨강) 1개, 파프리카 초록 (1/3개), 양배추 200g,
청양고추 4개, 밀가루 5T, 전분 1T, 소금 1t, 계란 2개, 후추, 소주 2T(혹은 맛술)
1. 두부는 도마에서 칼등으로 으깬 후, 꾹 짜서 물기를 제거해 준다.
파프리카와 양배추, 대파, 청양고추를 작게 다져준다.
(사진상으로 청양고추와 대파가 없으나 다져서 같이 넣어 주었어요)
참치도 체에 받쳐 기름기를 제거해준다.
2. 볼에 두부, 참치, 모든 채소를 한꺼번에 넣고 대충 섞어준 후, 소주(맛술)와 후춧가루를 넣어 준다.
참치의 비린내를 제거하기 위해서 소주와 후춧가루를 넣어 주었어요.
3. 밀가루와 계란, 전분을 넣고 소금을 넣어 간을 한다.
밀가루를 넣으시면 소금 양을 지금처럼 하시고, 부침가루를 넣으시면 소금의 양을 반 정도로 줄이셔야 해요.
잘 섞어서 한 덩어리로 만들어 준다.
4. 손에 밀가루를 묻힌 후, 한 숟가락씩 떠서, 동글하게 만들어 준다.
아니면 팬에 구울 때, 한 숟가락씩 프라이팬에 바로 올리셔도 괜찮습니다.
되기가 맞지 않은 경우에는 밀가루나, 부침가루를 추가하셔도 좋습니다.
5. 기름을 두른 팬에 노릇노릇 지저 준다.
약간 두꺼운 동그랑땡 같은 크기이므로, 속까지 잘 익을 수 있도록 약불에 천천히 부쳐준다.
앞뒤로 노릇노릇 모양을 예쁘게 잡아가며 부쳐 주세요.
6. 그릇에 보기 좋게 담아낸다.
7. 맛있게 먹는다.
참치보다 채소가 더 많이 들어가서 담백하고, 청양고추를 넣어서 살짝 알싸한 감칠맛이 도는 참치두부전.
채소 다지는 것이 조금 번거로울 수 있지만, 채소 칸에 애매하게 조금 남아서 잘 안 먹는 채소 이용하는 방법으로 참치 두부전 한번 만들어 보세요.
깻잎도 넣으시면 향긋해서 좋을 것 같고, 양파나, 당근 무슨 채소든 수분이 많지 않은 것이면 괜찮을 것 같아요.
혹시 무를 이용하시고 싶으시면 잘게 다져서 소금 조금 뿌려 두었다가, 물기 꼭 짜서 넣으시면 아삭하니 좋아요.
담백하고 고소한 두부전 간장 양념 만들어 찍어 드셔도 좋고요.
청양고추 4개나 넣었지만 맵지는 않고, 약간 알싸한 느낌이니 매운맛 좋아하시는 분들은 더 넣으시고, 아이들 있으신 분들은 줄이셔도 정말 맛있어요.
예쁜 색감의 참치두부전 맛있게 먹었습니다.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맛'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콩 비지전, 비지 부침개 - 고소하고 맛있어요. (0) | 2022.01.14 |
---|---|
순두부계란국 - 식사대용으로 가능(feat. 다이어터) (0) | 2022.01.14 |
커피향 한가득 모카빵 만들기 (0) | 2022.01.13 |
설탕 솔솔 누룽지 튀김 - 아이들 간식 (0) | 2022.01.12 |
돈까스 카레 - 바싹, 달달, 촉촉 (2) | 2022.01.12 |